옵티미즘(OP) 코인 전망과 이더리움 확장 레이어2의 승자는? - 레이어2의 미래

2 minute read

“OP는 그냥 이더리움 따라가는 코인 아냐?”라고 생각했다면

이더리움 상승에 힘입은 요즘, 다시 이더리움 관련 코인들이 눈에 쏙쏙 드러오기 시작했습니다.
특히나 레이어2, 그 중에서도 옵티미즘(OP)은 지금이 정말 갈림길에 서 있는 시점이에요.

  • “롤업은 많은데, 누가 진짜 살아남을까..?”
  • “업비트 상장은 했고 OP랑 아비트럼 차이도 모르겠고, 성장은 있는 건지…?”

그런 분들을 위해, 이 글에서는 OP 코인의 구조, 이더리움 롤업의 방향성, 그리고 레이어2의 미래까지..
꽤 심도 깊게, 그러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옵티미즘(OP)란 무엇인가? 간단 정리

  • 옵티미즘은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위해 개발된 레이어2 롤업 솔루션입니다.

  • 정식 명칭은 Optimistic Rollup, 이름처럼 ‘낙관적’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하죠.

  • 데이터를 이더리움 메인넷에 저장하면서도, 연산은 별도 체인에서 처리하니 가볍고 빠르게 처리됩니다.

🔍 한 줄 요약:

롤업은 데이터를 압축해서 이더리움 메인넷에 싸게 기록할 수 있는 기술.
옵티미즘은 그 대표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

현재 OP의 TVL(2025년 7월 28일 기준)

defilama - op


아비트럼(ARB)과 차이? 결국 같은 레이어2지만 차이는 존재한다.

옵티미즘(Optimism)아비트럼(Arbitrum)은 둘 다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레이어2이지만, 구조적/기술적/거버넌스 측면에서 여러 차이가 있어요.

구분 옵티미즘 (Optimism) 아비트럼 (Arbitrum)
트랜잭션 처리 속도 빠르지만, Arbitrum보단 느림 옵티미즘보다 약간 빠름
탈중앙화 수준 거버넌스 중심 (Optimism Collective) 기술 중심 + DAO 운영 (Arbitrum DAO)
RetroPGF(공공재 보상) 매우 적극적 (OP 토큰으로 프로젝트 보상) 제한적이나 일부 기금 운영
수수료 모델 일부 수수료는 Optimism 재단으로 귀속 대부분 수수료는 L2 보안에 재투자
브릿지 안정성 공식 브릿지 및 Cross-chain UX는 개선 중 자체 브릿지가 안정적이고 더 다양한 옵션 보유
TVL(총예치자산) 약 10~12억 달러 수준 (2025년 기준) 약 20~25억 달러 이상 (2025년 기준)

🔍 쉽게 요약하면?

옵티미즘은 철학적으로 ‘공공재 중심 생태계’를 지향, 개발자에게 보상하고, 슈퍼체인을 통해 여러 롤업을 연결하는 플랫폼 레벨 비전을 갖고 있음.

아비트럼은 기술적으로 더 강력한 보안성과 호환성을 제공하고, 자체 DAO 거버넌스를 통해 탈중앙화 운영이 잘 구축돼 있음.


OP 토큰의 역할과 토크노믹스

역할 설명
💬 거버넌스 참여 OP 홀더들은 옵티미즘 생태계의 방향성 결정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어.
예: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인센티브 프로그램, 기금 분배 등
🎁 생태계 인센티브 새로운 앱 개발자, 유동성 공급자 등을 유치하기 위한 “RetroPGF(레트로액티브 공공재 보상)”에 OP 토큰이 사용돼.
🧱 보안 및 유지 옵티미즘은 순차적으로 Rollup의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OP 토큰이 노드 운영이나 보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야.
📦 생태계 기금 재단이 보유한 OP 토큰을 통해 파트너십, 개발자 보조금 등 다양한 생태계 확장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 중이야.

사실상 토큰의 유틸리티가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어요.


  • 총 발행량: 4,294,967,296(OP) (42억 개)
항목 비율 비고
총 발행량 4,294,967,296 OP  
프로젝트 팀 및 기여자 약 19% 4년간 락업 및 선형 베스팅
기초 기금 및 생태계 기금 약 25% Optimism 재단이 관리, 개발자 지원 및 생태계 구축
RetroPGF 약 20% 공공재 지원에 사용
에어드랍 약 19% 사용자와 커뮤니티 대상
투자자 약 17% 시드 및 전략적 투자자에 대한 분배


crypto rank - 옵티미즘

2026년 3월까지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약 2%로 설계되어 있고, 시장확장성을 위한 토큰 분배는 토큰의 지속적 가격하락 리스크가 크다고 봅니다.


레이어2가 뭐고, 왜 중요할까?

이더리움의 최대단점. 거래 속도는 느리고 수수료(가스비)는 비싸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어2 기술이 등장했어요.

-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1: 이더리움 자체. 느리지만 매우 안전함.

-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이더리움 위에서 돌아가는 별도의 체인. 처리 속도를 높이고 가스비를 줄여줌.

즉, 레이어2는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돕는 도우미라고 보면 돼요


레이어2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Image Alt 텍스트

이더리움 자체가 결국 레이어2에 의존하게 된거에요.
2024년에 이더리움 덴쿤 업그레이드 EIP-4844 (Proto-Danksharding) 도입은
이더리움이 레이어2 친화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롤업 가스비는 더 싸지고 퍼포먼스는 향상되었습니다.

결국 레이어2는 이더리움 생태계에선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자리잡았어요.


기술적 분석 하락 리스크 존재

옵티미즘이 최근 업비트에 상장하면서 관심이 많아졌을텐데, 투자자로써 코인 가격은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비트럼과 옵티미즘 차트는 거의 동일한 차트를 그리고 있어요.

옵티미즘 월봉 차트 아비트럼 월봉 차트

1. 고점 대비 -70%이상 
- 토큰 유틸리티 부족으로 인해 언락 시 지속적 하락이 발생했습니다. (초기 VC들의 지속매도)

2. 이더리움 가격상승과 알트코인 불장
- 이더리움 상승과 더불어 알트코인 불장이 오면 이더리움 관련 코인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 투자 전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