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데라(HBAR) 코인 전망: 리플·스텔라와 함께 주목받는 이유는?
“리플, 스텔라루멘” 또 하나의 기업형 블록체인
요즘 코인판을 보다 보면 슬~쩍 이름 나오는 헤데라(HBAR) 코인.
특히 리플(XRP), 스텔라루멘(XLM)이랑 자주 같이 언급되는 게 흥미로워서 저도 직접 찾아보고 정리해봤어요.
그래서 오늘은,
- “HBAR는 도대체 어떤 블록체인 코인? 레이어1?”
- “왜 리플·스텔라랑 한 세트처럼 언급되는거지?”
- “지금 HBAR 들어가도 괜찮을까?”
처음 헤데라를 접했고 궁금증 있으셨던 분들께 헤데라가 정확히 무엇인지, 투자해도될지, 리스크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파헤쳐볼게요.
헤데라(HBAR) 좀 더 쉽게 파혜쳐보기
헤데라는 기존 분산형 블록체인이 아닌 해시그래프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하는 점이 헤데라의 특징입니다.
또한, 블록체인과 다르게 ‘블록’이 아닌 ‘이벤트 간 연결’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초당 수십만 건의 트랜잭션도 거뜬히 처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죠.
💡 블록체인과 해시그래프의 차이
항목 | 블록체인 | 해시그래프 |
---|---|---|
구조 | 블록 → 체인식 순차 연결 | 그래프 형태로 정보 연결 |
합의 방식 | PoW, PoS 등 | Gossip about Gossip + Virtual Voting |
속도 | 초당 수십~수백 건 | 초당 10만 건 이상 처리 가능 |
수수료 | 보통 높음 | 저렴하고 예측 가능 |
확장성 | 상대적으로 낮음 | 높은 확장성 보유 |
-
합의 알고리즘: 가십 어바웃 가십(Gossip about Gossip)
-
네트워크 구조: 탈중앙이지만 선정된 거버넌스 멤버 중심
-
TPS: 수천 건 이상 (이론상 최대 수십만 TPS)
-
카본 네거티브: 탄소배출 제로를 넘어서 ‘마이너스’ 달성
Gossip about Gossip? 그게 뭐야?
이게 해시그래프의 핵심이에요.
-
사람들이 서로 정보를 퍼뜨릴 때 ‘가십(gossip)’처럼 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에요.
-
예를 들어, A가 B에게 “나 이런 거래 했어”라고 알리고, B가 C에게 알릴 때 “A가 이런 거래 했다고 했어”까지 같이 알려줘요.
이렇게 누가 누구에게 언제 어떤 정보를 전달했는지까지 기록하면서, 전체 네트워크가 빠르게 동기화돼요.
Virtual Voting 가상투표?
해시그래프는 실제로 투표를 하지 않아요.
대신 “이 사람이 이때 이걸 알았으면, 이런 판단을 했겠지”라는 식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의 투표 결과를 만들어내요.
그래서 빠르고 에너지 효율적인 합의가 가능해요.
즉, 헤데라는 속도·보안·에너지 효율성 삼박자를 갖춘 실사용 중심 프로젝트입니다.
핵심은 기업용 블록체인!
특히 HBAR은 보잉, 구글, IBM, LG 등 대기업들이 직접 참여하는 거버넌스 위원회를 운영 중이라, 기술뿐 아니라 ‘신뢰성’에서도 점수를 많이 받고 있어요
또한, AI, RWA, DEFI등에서도 헤데라를 많이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생태계 확장을 위해 헤데라 개발자 도구 등 설명도 잘되어있어요.
코인명 | 주요 타겟 | 특징 |
---|---|---|
XRP | 은행·국제송금 | 빠른 송금, 법적 규제 적극 대응 |
XLM | 핀테크·리테일 | 저비용 송금 및 금융 접근성 |
HBAR | 기업·정부·AI 플랫폼 | 해시그래프 기반의 고성능 플랫폼 |
리플, 스텔라루멘과 묶어서 이야기 하는 이유가 바로 기업형 블록체인이기 때문이에요
헤데라 코인 (토크노믹스)
헤데라를 투자하기에 앞서 가장 중요한 토큰의 유틸리티와 토크노믹스를 알아봐야해요.
총 발행량: 500억 HBAR
- 약 17%: 초기 투자자
- 약 33%: 생태계 개발, 파트너사 보상
- 약 34%: 개발 재단 및 운영
- 나머지: 예비금 및 기타
지금 약 약 70% 이상이 유통되었어요.
2026년까지 대부분 유통 예정이고, 다른 코인과 다르게 “클리프+선형 해제” 방식이 아니라 프로젝트 팀이 수요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하는 구조입니다. (그래도 매월 언락은 있습니다.)
그래도 리스크는 존재한다.
헤데라는 분명 빠르고 효율적인 분산원장을 내세우며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생각보다 리스크 요소도 꽤 많습니다.
- 해시그래프라는 생소한 기술은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고,
- 대기업 중심으로 운영되는 구조는 중앙화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죠.
리스크 구분 | 주요 내용 |
---|---|
🔧 기술 리스크 | DAG 기반 구조의 장기적 안정성 미검증, 중앙화 운영 구조, 개발 인프라 부족 |
💸 투자 리스크 | 유통량 증가, 낮은 가격 반등력, 대기업 의존형 구조로 외부 리스크에 취약 |
기술적 분석과 앞으로의 전망
헤데라는 분명 리플과 스텔라루멘처럼 크게 성장가능성이 높은 코인이지만, 가격에 대한 급등락과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1. 2024년 저점대비 5~10배 상승
- 2022년에 상장하고 빙하기때 5토막 이상 났었고, 지금은 저점대비 5배가오른 만큼 급등락이 심한코인입니다.
2. 리플, 스텔라루멘의 상승
- 리플의 지속적인 상승과 알트코인의 불장에 힘입어 다시한번 상승가능성이 높은 코인입니다.
※ 투자 전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