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3.0 코인 종류 및 가격전망
WEB3.0
WEB1.0, WEB2.0을 넘어 탈 중앙화 블록체인 플랫폼 WEB3.0이 미래의 WEB을 대표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 말한다.
WEB3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나에게 가치있는 정보를 줄 수 있는 맞춤형 인터넷 세상을 말한다.
그럼 어떻게 해서 WEB3가 나에게 가치있는 정보를 준다는 것일까? 이것은 탈중앙화 기술로 모두에게 수익성을 보장케 함으로써 맞춤형 웹을 만들어 가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
아래 기준으로 WEB3에 대해서 알아보자.
- 웹의 변천과정 (Web1.0 -> Web2.0 -> Web3.0)
- WEB3 관련 코인
- WEB3 코인 전망
- WEB3에 대한 관점
웹의 변천과정 (Web1.0 -> Web2.0 -> Web3.0)
WEB은 1.0에서부터 3.0까지 그 변화는 사용자 친화적으로 변화해왔다.
Web1.0은 정보의 제공에서부터 시작한 웹이 점점 많은 정보가 나오면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빅데이터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현재 Web2.0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web3.0은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되돌아가는 보상이 암호화폐로 돌아가는 구조로 바뀐다는 것이다.
구글 애드센스나 카카오 애드핏 네이버 광고 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제공에 따른 광고수익이 돌아가지만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Web3.0의 큰 차이는 암호화폐로 모두에게 보상이 되돌아가면서 큰 수익을 올리는 것과 동시에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WEB3 관련 코인
WEB3 관련 코인은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
- 파일코인
- 체인링크
- 베이직어탠션토큰
- 라이브피어
- 시아코인
- 스토리지
이중 몇개만 간단히 봐보자.
파일코인
IPFS 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가 파일코인이다.
IPFS는 무엇일까?
IPFS는 분산형 파일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터넷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게 무슨말일까? 기존 파일 시스템은 하나의 독립된 서버에 저장하여 HTTP통신을 통해 파일을 송수신 하였다. 하지만 분산 해시 테이블의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나누어 여러 컴퓨터에 저장하여 효율적이며 빠른 파일 저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한마디로 HTTP 프로토콜로 중앙 저장하던 방식을 IPFS 프로토콜로 분산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블록체인과 IPFS는 어떻게 분산 저장 시킬까?
파일코인의 블록체인의 노드는 파일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올리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1GB의 파일을 직접 블록체인에 올리는 것이 아닌 파일의 해시값으로 파일을 저장 탐색하는 것이다.
체인링크
블록체인의 미들웨어 플랫폼이 바로 체인링크 이다. 즉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랙트의 내용이 현실세계의 데이터와 쉽게 연동되는것을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즉 이를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연결하는 역할이라 생각하면 된다.
체인링크는 이런 오프체인의 데이터의 정보를 제공하는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작업보상으로 LINK를 주면서 블록체인 노드를 유지시킨다. 온체인 데이터와 오프체인 데이터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는 체인링크는 오라클 서비스 프로젝트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시아코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간단히 말해서 네이버,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랑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본인의 컴퓨터 저장공간을 다른사람에게 임대하여 줄 수 있다. 즉, 임대하였을 때 보상받는 코인이 바로 시아코인이며 개인이 지불해야 되는 수수료는 일반 구글, MS, 아마존 등 보다 훨씬 저럼한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체인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보안성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아코인은 WEB3 코인 종류 중 하나로 꼽힌다.
스토리지
WEB3 코인 하면 스토리지를 빼놓을 수 없다. 시아코인과 매우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남은 저장공간을 다른사람에게 임대해주는 구조로 클라우드 서비스와 매우 비슷하다.
-
데이터 저장: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저장될 때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여러 조각으로 나눈다. 이 부분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피어에 배포되고 이 경우 데이터를 다시 찾을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타데이터가 생성된다.
-
데이터 검색: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때 클라이언트는 먼저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전에 저장된 조각의 위치를 식별하고 부품이 검색되며 원래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의 로컬 시스템에 다시 조립된다.
-
데이터 유지 : 중복성의 양이 특정 임계 값 아래로 떨어지면 빠진 조각에 필요한 데이터가 다시 생성되고 교체된다.
-
사용료 :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가치 단위를 보내야 한다.
WEB3 코인 전망(과연 탈중앙화가 맞는가?)
WEB3 코인은 논란이 많다. 엘론 머스크와 잭도시의 WEB3가 결론적으로는 중앙집중적인 인터넷이라는 비판이 일어나면서 아직까지 WEB3에 대한 앞으로의 과제가 많다.
웹 3.0의 지지자들은 웹 3.0이 콘텐츠 유통, 탈중앙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웹 3.0은 웹 2.0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닌 함께 작동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