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도 이해하는 차트 패턴: 빗각과 채널 매매로 수익 내는 방법

2 minute read

기술적 분석과 차트 매매법

코인이나 주식 차트 처음 보면 이런 생각 듭니다.

“도대체 어디서 사야 하고 어디서 팔아야 하는 거야?” “지금 떨어지는 건 기회인가? 아니면 덤핑 들어온 건가?”

저도 차트를 볼때마다 오르면 더 오를거 같고, 떨어지면 지지가 어딘지 모르겠어서 늘 손실이 났던적이 한두번이 아니에요.
아무리 기업이나 코인이 좋다고 하지만 언제 들어갈지 모를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가장 기초적인 빗각과 채널매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오늘은,

  • “빗각이란 무엇일까?”
  • “트레이딩뷰에서 빗각 그리는 법”
  • “채널 매매 알아보기 (구글, 엔비디아, 아마존 등)”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고 수익매매로 한걸음 다가가 봅시다. 🙌


빗각이란 무엇인가?

빗각은 쉽게 말해서 보통 기울기 또는 추세선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차트 분석에서 ‘빗각’추세선(Trend Line)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즉, 가격이 움직이는 방향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지지(Support)저항(Resistance) 레벨을 예측하기 위해 차트에 대각선으로 그리는 선 이에요.

즉, 미래를 맞추는 게임으로 빗각을 주로 활용합니다.

비트코인 주봉 차트

비트코인 차트를 보면 더 이해하기 쉬워요.

BTC/USDT 바이낸스

Image Alt 텍스트

2017년 11월 최고점, 2021년 10월 최고점, 2025년 10월 최고점을 이으면 빗각을 그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승추세선과 채널을 그릴 수 있습니다.

BTC/USDT 바이낸스

Image Alt 텍스트

마찬가지로 2021년 8월 붓다빔 이후 변곡점과 2025년 11월 변곡점을 이어보면 채널이 만들어지는걸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변곡점이란 가격이 빗각을 강하게 돌파할 때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때, 추세 변곡점이라고 해요.

빗각으로 만드는 채널

빗각은 단순히 추세를 파악하는 것을 넘어 매매의 타점을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채널을 만들 수 있습니다.

BTC/USDT 바이낸스

Image Alt 텍스트

현재 비트코인은 2025년 11월 기준 8만 7천달러에서 채널을 이탈하지 않은 상태이며, 채널을 이탈하게되면 긴 약세장으로 진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뷰로 빗각을 통해 채널그리기

주식과 코인차트를 보는건 트레이딩뷰에서 보는게 가장 좋고 편합니다.
나스닥, 코인, 국내주식의 모든 차트가 모여있어서 쉽게 볼 수 있어요.

고점 / 저점 확인

차트의 고점과 저점을 확인하고 변곡점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즉 변곡점으로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하거나 전저점을 강하게 내렸을때를 보면되요.

나스닥 - 구글(GOOG) 아래 차트를 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글(GOOG) 나스닥

Image Alt 텍스트

  1. 21년 고점이후 22-23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긴 하락 후 24년도 고점 돌파 지점
  2. 빗각을 이용한 1:1 채널 여기서 1:1은 이후 고점을 돌파한 지점


구글(GOOG) 나스닥

Image Alt 텍스트

채널을 그리게되면 채널의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을 통해서 롱, 숏포지션을 가져가도 되고, 추가 매수전략을 가져가도 되요.

사실 빅테크기업은 DCA로 매일 사면 우상향하는 종목이라서 차트 매매는 공부를 위해서 주로 나스닥 빅테크 차트를 봅니다.


채널로 차트분석 (S&P500,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

채널은 선물 및 현물 투자에 있어서 매우 유용합니다.
즉, 손절라인이 명확하고 매수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어요.
보통 우상향 하는 자산(빅테크, 비트코인, 금)은 DCA로 사도 되지만, 처음 크게 투자하고 싶을때는 처음 포지션 잡을때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S&P500 채널

Image Alt 텍스트

s&p500은 장기 우상향 차트로 채널기준 상단으로는 7000까지 오를 수 있는 구간에 있고, 채널하단으로는 6541, 그 아래 채널은 5700 부근입니다.

엔비디아 채널

Image Alt 텍스트

엔비디아는 채널기준 상단으로는 200달러, 하단으로는 150후반 ~ 160달러 부근입니다. 단, 전고점 돌파시 최고 240-250달러까지 부근까지 상승가능합니다.

기술적 지표는 100% 맹신 금물

차트는 기술적 지표일 뿐, 방향에 대해서는 100%신뢰하면 안됩니다. 즉, 대응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여야 하며 투자는 늘 경제지표, 기업실적, 유동성 지표등을 다 살펴봐야해요.

  • ✅ 시장은 확률 게임 -> 차트는 “가능성”이지 정답이 아님
  • ✅ 변수는 차트 밖에 있음 -> 뉴스/매크로/유동성/세력 물량
  • ✅ 패턴은 반복되지만 동일하지 않음 -> 과거 패턴 ≠ 미래 보장

※ 매수 매도 추천은 절대 아니며, 투자 전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