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사는법 ETF 추천과 종류 총정리 - 시작부터 계좌개설 그리고 투자까지
S&P500를 사는 이유 - DCA투자 방법
요즘 “미국 주식이 대세”라는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그중에서도 특히 S&P 500 ETF가 꾸준한 수입원으로 관심을 끌고 있어요.
특히 S&P 500 ETF나 나스닥 ETF가 퇴직연금이나 DCA(적립식 매수)에 가장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 “S&P 500 ETF가 무엇이고 뭐가 있는지”
- “S&P 500 ETF, 어떻게 사는 건지부터”
- “계좌는 어떻게 만들고 투자하는지”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보려 해요. 🙌
S&P500 ETF란?
우선 S&P500을 사는것은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 기업 500곳을 한번에 사는 셈이에요.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이고, 쉽게 말해,
여러 종목을 한 바구니에 담아 만든 펀드를 증권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만든 상품입니다.
즉, S&P500 ETF는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기업 500곳의 지수를 펀드형태로 증권거래소에 사고팔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라고 이해하시면 되세요.
S&P500 ETF 종류와 고르는방법?
증권거래소에 현재 상장되어 있는 ETF 종류에요. 티커를 증권사 앱에서 검색하면 나오고 저 4개는 현재 S&P500 기준으로 ETF를 만든 상품입니다.
ETF 이름 | 티커(약자) | 특징 |
---|---|---|
SPDR S\&P 500 ETF Trust | SPY | 가장 오래되고 유동성 최상위. 기관 투자자 선호 요인 존재. |
Vanguard S\&P 500 ETF | VOO | 초저비용(0.03%), 개인 장기 투자자에게 인기 상승 중. |
iShares Core S\&P 500 ETF | IVV | VOO와 비슷한 저비용 구조, 블랙록 운영. |
SPDR Portfolio S\&P 500 ETF | SPLG | SPY의 낮은 비용 버전, 개인 투자자에게 합리적 선택. |
인기순위
- SPY → 전 세계에서 가장 거래량 많은 ETF, 단기 매매·옵션 거래에서도 압도적 인기
- VOO / IVV → 장기 투자자들이 주로 선택, 거래량은 SPY보다 낮지만 안정적
- SPLG → 저렴한 수수료가 장점이지만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에서 불리
“저 4개 중에 가장 인기있는 ETF는 바로 SPY이며 주로 가장 인기있는 ETF를 매수해요.”
“단, SPLG 빼곤 500$이상이라 소액 매수를 하고싶다면 SPLG를 추천합니다.”
시작하기 - 계좌개설하기 (한국투자증권 기준)
ETF를 사기 위해선 우선 증권사 계좌개설먼저 해야합니다. 증권사 계좌개설은 가장 선호하는 증권사로 하시면되세요. 저는 한국투자증권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계좌개설하기
먼저 증권앱에 접속하셔서 모바일로 계좌개설을 하면 됩니다.
1. 모바일 계좌개설
2. ISA + 국내/해외주식 + CMA(증권사 통장 개념 - 입출금 자유로움)
3. CMA-발음어음형
CMA는 주로 증권사 별로 다르지만 한국투자증권은 CMA-발행어음형을 사용하고 있어요.
종류 | 특징 | 예시 |
---|---|---|
CMA-RP형 | 증권사가 RP(채권)로 운용, 안정성 높음 | KB증권 CMA-RP |
CMA-MMF형 | MMF로 운용, 수익률 조금 높지만 변동 가능 | 삼성증권 CMA-MMF |
CMA-발행어음형 | 증권사 자체 발행어음에 투자, 비교적 고금리 | 한국투자증권 CMA 발행어음 |
CMA-종합형 | RP+MMF+발행어음 혼합 | 각 증권사 복합형 CMA |
4. 투자성향 위험 이상으로 설정
미국 주식이나 ETF거래에 있어서는 투자성향을 위험이상으로 하셔야해요. 저는 위험 중립형으로 하였습니다.
이후에는 본인인증 후 계속 진행하시면 증권계좌가 개설됩니다. 저는 이미 계좌가 있기 때문에 이후에는 넘어가기가 어려웠어요.
해외 주식 거래 신청 / ETF 거래 신청
계좌개설이 끝났으면, 해외 주식 거래 신청과 ETF 거래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그래야 ETF 및 해외 주식 거래를 할 수 있어요.
투자하기 - 매수 / 매도시 주의할점
만드신 주식계좌에 돈을 넣고 ETF상품을 검색해서 매수 하시면 되세요. 매수하면 자동으로 환전하고 매수되요.
미국주식 거래 시간
구분 | 미국 동부 시간(ET) | 한국 시간(KST) | 특징 |
---|---|---|---|
정규장 | 09:30 ~ 16:00 | 23:30 ~ 06:00 (서머타임: 22:30 ~ 05:00) | 거래량·변동성 가장 큼 |
장전 거래 (프리마켓) | 04:00 ~ 09:30 | 18:00 ~ 23:30 (서머타임: 17:00 ~ 22:30) | 뉴스, 실적 발표 직후 반영 |
장후 거래 (애프터마켓) | 16:00 ~ 20:00 | 06:00 ~ 10:00 (서머타임: 05:00 ~ 09:00) | 정규장 마감 후 변동성 가능 |
미국 주식은 주로 정규장에 매수하는게 좋습니다. 애프터 마켓 거래도 가능하지만, 거래량이 가장 많은 정규장 때 매수 추천
매도시 주의할 점
매도 후에는 절대 바로 매수가 불가능 해요. 매도일로 부터 영업일 기준 2일뒤에 완료되요. 이점은 꼭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결제 기간(T+2 규칙)
T+2: 매도일(T)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뒤에 결제가 완료
→ 결제가 끝나야 증권사에서 현금이 ‘인출 가능 금액’으로 잡혀요.
- 매도시 (예시)
매도일 | 결제 완료일(출금 가능) |
---|---|
월요일 | 수요일 |
화요일 | 목요일 |
수요일 | 금요일 |
목요일 | 다음 주 월요일 |
금요일 | 다음 주 화요일 |
※ 투자 전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